<aside>
⏰
10/26(화) 늦은 5시 에 회고를 진행합니다!
</aside>
🎉 프로젝트의 절반이 지났습니다!
데브코스 첫 팀 프로젝트인 SNS 서비스 프로젝트도 어느새 반환점을 돌았습니다!
오프라인으로 처음 얼굴을 맞대고 논의하던 것이 얼마되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죠.
중간 점검 결과가 만족스러워 뿌듯해 할 수도 있고 아직 부족하다는 생각에 찝찝해 할수도 있을 것 같아요.
'반' 이라는 단어는 누군가에게는 '벌써'일수도 누군가에게는 '아직도'일수도 있지만 어찌되었든 회고하기 좋은 타이밍입니다.
🖊️우리 회고 합시다!
어찌되었던 간에 우리 회고합니다!
진행한 기간에 부족했던 것, 아쉬웠던 것, 뿌듯한 것 등등 우리는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밀도 높은 경험을 했습니다. 그런데 사진 한 장 없는 추억으로 삼고 모든 것을 과거에 남기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을까요?
서로 회고를 통해 기록하고 공유한다면 앞으로 남은 프로젝트를 위한 든든한 밑바탕이 될거라 감히 확신합니다!
🤷♂️회고 때 무엇을 하나요??
☝️ 우선 모든 것을 털어내 봅시다.
<aside>
📌 좋았던 점, 아쉬웠던 점 무엇이 되었든 좋으니 우선 모든것을 털어내봅시다.
</aside>
Good
-
기획
- 요구사항을 상세히 정리하고나니 기능별로 필요한 사항이나 예외처리가 필요한 부분들을 미리 정리할 수 있었기에 개발 단계에서 모든 팀원이 각 기능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갖게되었다.
-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전반적으로 참여하다보니 대략적으로 알기만 했던 부분들을 더 깊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.
-
개발 환경 설정
- 코딩컨벤션, 노드버전관리, 커밋 컨밴션, 이슈, 브랜치 전략 중 어느 하나 대충하는것 없이 정말 말 그대로 협업으로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여 내용을 맞춰나가는것이 프로젝트 진행 흐름과 개발 환경을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.
- 막연히 기존에 제안되는 룰을 그대로 따라하는것만이 아니라, 가이드라인을 따라가되, 각자의 추가적인 의견들을 반영하여 커스텀화된 룰을 만들며 프로젝트 세팅을 진행하였다.
- 단순히 추천하는 lint rule을 가져다 쓰거나 하지않고 각자의 코딩스타일에 대한 협의를 통해 lint룰을 정했기에 각자의 코딩스타일을 돌아볼 뿐만 아니라 우리 팀만의 코딩컨벤션을 구축할 수 있었다.
-
프로젝트 관리
- 이슈 템플릿이나 PR템플릿을 통해 서로의 이슈나 PR에 대해서 공통된 양식과 표현방법을 만들었기에 이슈나 PR에 대해 빠른 파악이 가능해진다. 조금 더 적극적이어도 좋을 것 같다.
- 발생한 에러나 버그에 대해 이슈로 등록하고 발생원인과 해결과정을 기록해두었기에 팀원과의 빠른 공유가 가능해지고 추후 동일한 이슈가 발생했을 때에 대한 참고자료가 되는 것 같다.
- git-project로 이슈나 PR을 칸반보드 형식으로 연결하여 진행하였기에 팀원별로 진행상황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.
-
개발
- 스토리 북을 이용하여 테스트 스토리를 작성했기에 비록 시간을 좀 걸릴지라도 확실하게 동작하는 기능 개발이 가능해졌다.
- base 컴포넌트를 우선 개발해두었기에 나중에 어떤 기능을 하는 컴포넌트를 만들때는 핵심기능을에 집중하고 그외 로직들은 base컴포넌트에 위임해서 처리할수 있어 코드가 좀 더 명료해진다.
- atomic design 기반으로 base컴포넌트의 기능을 어디까지 해야하는지 고민을 하면서 구성에 대하여 고민해볼 수 있었다. base컴포넌트에 css 디자인을 어느정도 해야할지도 고민해보면서 변경이 많은 base는 더 많은 props를 받을 수 있도록 아닌경우에는 좀 더 custom할 수 있도록하는 과정을 재사용성과 편리성을 갖춘 컴포넌트 개발이 가능했다.